고혈압의 범위, 원인, 증상 및 분류

혈압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고혈압도 건강을 위협할 수 있지만 저혈압 또한 건강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고혈압에 관한 원인, 증상 및 고혈압이라 분류되는 혈압의 범위 등에 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고혈압의 원인, 증상

그럼 지금부터 고혈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고혈압이란?

고혈압이란 수축기의 혈압이 140mmHg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이상일 때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날 측정해서 2회 이상 높을 때에 진단합니다.

📌 정상혈압은 120/80mmHg 미만입니다.

고혈압 환자는 얼마나 많을까?

📌 30세 이상 성인의 1/3이 고혈압 환자입니다.

📌 60세 이상 노인에서는 2 중에 1 명은 고혈압 환자입니다.

📌 30세 이상 성인의 28.9%(남자의 30.1%, 여자의 27.7%)가 고혈압 환자이며 65세 이상 노인의 60.7%가 고혈압 환자입니다.

고혈압의 원인

본태성 고혈압

📌 고혈압 환자의 90% 이상을 차지합니다.

📌 정확한 기전을 알 수 없습니다.

📌 위험인자들이 모여서 발생합니다.

👉 연령, 가족력, 인종은 조절 불가능한 위험인자이고 비만, 운동 부족, 흡연, 염분 섭취, 알코올, 스트레스에 의한 것은 조절가능한 위험인자입니다.

이차성 고혈압

📌 고혈압 환자의 5~10%를 차이합니다.

📌 원인 : 2차성 고혈압은 원인을 치료하면 완치되므로 고혈압 진단을 받으면 반드시 원인이 있는 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 신장질환 : 만성 신장질환, 신혈관성 고혈압
  • 부신질환 : 일차성 고알도스테론증, 쿠상증후군, 갈색세포증
  • 갑상선 기능항진증, 갑상선 기능저하증
  • 대동맥 축착증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 임신
  • 약물에 의한 영향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스테로이드, 경구피임약, 혈관수축제, 비충혈억제젝, 감초, 코카인

고혈압의 증상

고혈압은 뚜렷한 증상이 없습니다. 고혈압이 심하다고 해도 증상이 뚜렷하지도 않습니다. 고혈압 자체로 인한 증상보다 고혈압에 의한 장기의 손상으로 증상이 나타납니다. 때문에 반드시 혈압을 측정해야만 확인이 가능합니다.

📌 투통은 매우 심한 고혈압에서만 나타나며 이 경우에도 대부분 잠에서 깨어날 때 머리 뒤쪽에 국한되며 몇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없어집니다.

📌 초기에는 증상이 없다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증상이 없다고 고혈압이 없는 것이 아니므로 정기적으로 병원에서 검진을 받고 그에 따른 처방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고혈압은 관리되지 않으면 심장질환(협심증, 심근경색), 뇌혈관질환(뇌졸증), 신장질환, 비뇨생식기질환, 안과질환 등 우리 몸 전반에 걸쳐 합병증을 일으키고 목숨을 위협하는 질환입니다.

📌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으면 약 50%는 관산동맥 질환이나 심부전으로, 약 33%는 뇌졸증으로, 10~15%는 신부전으로 사망합니다.

혈압의 분류

혈압의 분류수축기 혈압(mmHg)그리고, 또는 이완기 혈압(mmHg)
정상<120그리고<80
고혈압 전단계120~139또는80~89
제1기 고혈압140~159또는90~99
제2기 고혈압≥ 160또는≥ 100
  • 가정에서 측정한 혈압은 진료실에서 잰 것보다 낮으므로 135/85mmHg 이상을 고혈압으로 간주합니다.
  • 수축기나 이완기 혈압 모두 중요합니다. 서로 다른 분류에 해당되면 더 높은쪽 혈압분류에 따라 중증도를 결정하므로 160mm/90mmHg라면 고혈압에 속합니다.

올바른 혈압 측정 방법

📌 식사 직후는 피합니다.

📌 측정 30분 전에는 금연을 하시고, 커피도 금합니다.

📌 추운 곳은 피하고 적당한 실온(20℃ 전후)에서 측정합니다.

📌 측정 전 5분간은 안정호흡을 합니다.

📌 언제나 같은 체위로 측정하며, 혈압측정 때(완대)는 심장과 동일선상에 유지하도록 합니다.

📌 1~2분 시간간격을 두고 적어도 2회 이상 측정하며, 그 차이가 5mmHg이하면 혈압의 평균을 구합니다.

📌 처음에는 양팔에서 혈압을 측정하고 이후에는 높은 쪽에서 측정합니다.

📌 가정의 혈압측정은 하루 2회 같은 시간에 측정합니다.

– 아침 : 기상 1시간 후 배뇨 후
– 저녁 : 취침 전 안정 후 측정

📌 자가 혈압측정 후에는 날짜, 시간,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맥박수를 기록합니다.

📌 가정용 혈압계는 상완(윗팔)에서 잰것이 손목이나 손가락에서 잰 것보다 정확합니다.

정리하며

이상에서 고혈압의 증상, 측정방법 및 고혈압의 원인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고혈압은 특히 자각증상이 없는 상태에서 다른 장기에 문제를 일으키는 병이므로 수시로 혈압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