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을 청약할 수 있는 통장에는 청약저축, 청약예금, 청약부금, 주택청약종합저축 등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 통장들의 특징과 차이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주택청약 통장의 종류 및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청약저축통장
✅ 청약저축통장이란?
📌 국민주택에만 청약이 가능한 통장으로 매달 2만원부터 1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합니다.
✅ 특징
📌 청약가능한 주택? 국민주택 전용 85m2이하의 주택만 청약이 가능합니다.
📌 당첨자 선정은? 납입회차별 납입인정금액이 많은 순으로 합니다. 매달 최대 10만원까지만 인정합니다.
✅ 청약저축통장 Q&A
📌 민영주택에 청약하려면? 청약예금통장으로 변경후 청약가능(단, 변경시 국민주택 청약불가)
📌 통장은 있는 데 미납상태라면? 미납된 회차만큼 매회 10만원씩 끊어서 납입 가능합니다. 담, 미납된 회차만 인정가능하며 2만원씩이라도납입된 회차는 금액채우기가 불가합니다.
✅ Tip
📌 국민주택 청약의 경우 통장납입금액순으로 당첨자를 선장하며 매달 최대 10만원까지만 인정됩니다. 즉, 가입기간이 길고 10만원씩 넣어야 당첨확률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국민주택을 노리는 데 당장 매달 10만원씩 넣치 어렵다면 차라리 매달 미납후 나중에 한꺼뻔에 10만원씩 끊어 넣어 납입인정금액을 올리는 것이 보다 효과적입니다.\
청약예금통장
✅ 청약예금통장이란?
📌 민영주택에만 청약이 가능한 통장으로 통장 예치금 범위내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 특징
📌 청약가능한 주택? 민영주택 면적 상관없이 청약가능합니다.
📌 당첨자 선정은? 가점제 또는 추첨제 방식으로 선정합니다.
청약부금
✅ 청약부금통장이란?
📌 민영주택에만 청약이 가능한 통장으로 통장 예치금 범위내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 특징
📌 청약이 가능한 주택은? 민영주택 85m2이하 주택에 청약이 가능합니다.
📌 당첨자 선정은? 가점제 또는 추첨제 방식으로 선정합니다.
✅ 청약예금 또는 청약부금 Q&A
📌 청약예치금 납입은? 청약하려는 현장 공고일 기준으로 아래 금액이 충족해야 합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통장
✅ 청약청약종합저축이란?
📌 모든 주택유형에 청약가능한 통장으로 현재 가입 가능한 통장입니다.
✅ 특징
📌 국민주택 당첨자 선정? 납입회차별 납입인정금액이 많은 순으로 선정합니다.
📌 민영주택 당첨자 선정? 예치금 충족 후 가점제 또는 추첨제 방식으로 선정합니다.
참고사항
✅ 청약저축, 청약예금, 청약부금은 15년 9월 1일부로 가입이 중지된 통장들입니다.
📌(청약저축통장) 가입기간이 길고 저축액이 많다면 변경이나 해지가 아닌 유지를 권장
📌(청약부금통장) 작은면적만 청약이 가능하므로 모든 면적가능한 청약예금으로 변경해도 무관
📌(저축,예금,부금) 3개 통장은 직계증여 가능하므로 잘 가지고 있다고 자녀에게 무적통장 증여가 가능
지금은 청약저축통장만 가입하므로 청약저축통장에 대하여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아래의 버튼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리하며
이상에서 청약저축, 청약예금, 청약부금 및 종합청약저축통장에 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지금 가입가능한 통장은 종합청약저축통장만 가능합니다. 또한 15년 9월 1일 이전에 가입한 청약저축, 청약예금, 청약부금 통장이 있다면 장단점을 잘 살피시어 유지 또는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할것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