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를 하다보면 구글 애드센스에 대하여 알게 된다. 구글 애스센스는 블로그에 구글의 광고글 게제해주는 승인을 해주는 곳이고 또한 다양한 메뉴를 통하여 수익을 증진하게 도와주는 사이트이다. 구글 애드센스 화면에서 가장 많이 보는 화면의 페이지뷰, 페이지 RPM, 노출수, 노출 RPM 등의 용어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페이지뷰
페이지뷰는 방문자가 구글 광고에 게재된 페이지를 조회할 때 집계되는 것으로 방문자가 해당 페이지를 방문하면 1회 추가됩니다. 따라서 블로그 방문자와 페이지뷰가 같다면 블로그 방문자는 해당 페이지만 보고 빠져 나간 것이라 보면됩니다.
만약 한 사용자가 블로그에 들어와서 메인화면을 보고, 카테고리를 보기 위해 카테고리 화면으로 넘어가고, 그 카테고리 안에 있는 포스팅을 보았다면 페이지뷰는 총 3회로 집계됩니다. 이 때, 이전 페이지, 다음 페이지, 새로고침 등도 페이지뷰로 집계됩니다.
방문자수
방문자수는 페이지뷰와 조금 다른 의미로 사용됩니다. 새로운 세션이 형성되어야 새로운 방문자로 집계 되는 데 예를 들면 인터넷 화면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탭을 열어서 사이트에 방문한다고 해도 방문자수는 증가하지 않습니다.
이처럼 인터넷 화면이 열려있다는 것은 세션이 아직 유지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만약 브라우저를 모두 닫아서 세션을 종료한 다음 새로운 창을 열면 새로운 방문자수로 계산됩니다.
한편 사용자가 사이트에 방문했을 때 이전 방문이 쿠키에 이력이 있는 경우에는 재방문으로 간주되고, 방문 이력이 없는 경우에는 신규방문으로 간주됩니다. 방문자수는 재방문과 신규방문수를 모두 합산하여 계산됩니다.
또한, 방문자수와 관련하여 순방문자수라는 것도 있는 데, 이는 일정한 기준(시간, 일, 월 등의 기준) 으로 중복방문을 제외한 방문자수를 의미합니다.
페이지RPM
조회수 1,000당 평균 수익을 의미합니다. 즉, 페이지 RPM =(예상수입/페이지 조회수) *1000으로 구해집니다.
구글에서는 eCPM이라는 용어도 사용하는데 같은 의미입니다. 산정방법은 (‘예상수익’ / ‘페이지뷰 수’)*1000 입니다. 예를 들어, 25페이지뷰로 $0.15를 벌어들인 경우 (0.15/25)*1000 으로 RPM은 $6이 됩니다.
1000페이뷰를 달성하면 $6를 얻을 수 있다는 말이 됩니다.
페이지 RPM에 영향을 주는 것은 CTR(Click-through rate)와 CPC(Cost Per Click)이 있습니다.
CTR은 블로그 방문자에게 광고가 노출된 횟수 중 클릭한 빈도를 의미합니다. 방문자에게 광고가 노출되고 단가높은 광고를 클릭할 수록 수익이 증가하며 CTR의 계산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CTR(%) = (광고클릭수 / 광고노출수) * 100 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광고가 100화 노출되었고 5번 클릭하면 CTR은 (5/100) * 100 = 5% 입니다.
CPC(Cost Per Click)는 클릭당 비용으로 쉽게 말하자면 “광고 단가”입니다. 단가가 높은 광고를 블로그에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구글애드센서 사이트에서 단가가 낮은 광고를 제거하는 드의 조치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노출RPM
노출RPM은 1,000회의 노출당 노출 수익을 의미합니다. 즉, 노출 RPM은 = (예상수익 / 노출수) *1000으로 계산됩니다.
여기에서 노출수는 광고 요청 1회에 대하여 한 개이 상의 광고가 사용자 기기에 로드되기 시작하면 노출 1회로 집계가 됩니다. 노출수는 로드한 광고 단위(콘텐츠 광고의 경우) 또는 검색어(검색 광고의 경우)의 수와 동일합니다.
조회가능 Active View
측정가능한 모든 노출수 중 조회 가능한 노출수의 비율의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사이트의 공고에 100회의 측정 가능한 광고 노출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하면 Active View태그가 조회가능성을 측정할 수 있는 노출이 100회 발생하였고
만약 100회의 노출수중 단지 10회만 조회가능한 것으로 측정되었다면 Acive View의 조회 가능성은 10%가 됩니다.
페이지에 노출된 광고 중 조회 가능하다고 평가되는 광고의 비율을 의미한다고 하는 데,
예를 들자면 한 페이지에 광고가 사용자에게 100회 노출된다고 하면 조회 가능 Active View가 35% 라면, 실제 사용자의 화면에 노출된 광고가 35회라는 뜻이지요.
나머지 65회는 스크롤을 빨리해서 보지 않고 넘겼거나 하단에 있어서 아예 스크롤하지 않고 페이지를 닫은 경우라고 합니다.
구글 애드센스에 따르면 조회가능 노출수가 광고의 입찰을 결정하는 데에 중요한 조건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조회 가능 Active View를 개선하는 것이 클릭률이나 광고 단가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조회 가능성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구글은 1. 눈길을 사로잡는 콘텐츠 만들기, 2. 반응형 광고 단위 사용하기, 3. 광고 위치 변경하기등의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클릭수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한 횟수로 무효 클릭 확인 시간이 있어 최초 보고된 클릭수와 추후 클릭수가 다를 수 있습니다.